cloud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5 - 포트 열기

uzzam 2023. 5. 27. 19:32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4 - 고정 ip 생성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4 - 고정 ip 생성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3 - 스왑 메모리 사용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3 - 스왑 메모리 사용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2 - 맥 터미널에서 GCP 인스턴스 접속하기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2 - 맥 터미널에

uzzam.dev

포트

이전 글에서는 고정 ip를 발급해주었다.

나의 집 주소를 확정한 것이다.

 

포트는 뭘까?

포트는 집에 붙어 있는 "문"이다..

 

컴퓨터를 엄청나게 큰 집이라고 생각해보자

컴퓨터라는 집에는 많은 방문객들이 모인다. 

이 방문객들이 모두 하나의 문을 통해 들어온다면, 너무 복잡하고 누가 누군지 정확하게 구분이 안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65536개의 문을 뚫어버리기로 했다.

그리고 0번부터 65535라고 번호를 붙여주었다.

 

문을 뚫으며 20번이나 80번 등 기본적인 약속을 정한다.

그리고 할당되지 않은 문에 한해서 추가적인 약속을 할 수 있다.

짜장면 배달은 8001번 문으로와.

치킨 배달은 8002번 문으로와.

이런 식으로..

 

내가 쓰려는 웹서버는 8080, 8081 두 가지이다.

그럼 GCP 홈페이지에서 8080, 8081 포트를 열어서 접속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처음부터 모든 포트를 허용하면 좋겠지만, 집의 모든 문을 열고 사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위험하니까..

 

방법

아래와 같이 열면 아마 일반적으로는 큰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VPC 네트워크 -> 방화벽 -> 방화벽 규칙 만들기로 들어가준다.

알아볼 수 있게끔 이름과 설명을 작성해주고, 

트래픽 방향은 수신. 요청을 수신하게 되므로..

 

소스 IPv4 범위 : 0.0.0.0/0 

프로토콜 및 포트 : TCP - 8080, 8081

 

소스 IPv4 범위는 어디서 오는 트래픽을 허용할 건가?

0.0.0.0/0은 모든 곳에서 허용한다는 것이다.

 

프로토콜 및 포트는 자신이 필요한 것으로 설정해주면 된다.

엄청 간단하다.

 

시리즈 끝

그럼 5편으로 이루어진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시리즈가 끝났다.

다음에 할 일은 도커를 배우고 써야할 것 같다.

너무 오래전 프로젝트였고, 버전 호환이 안되어서 옛날 버전 찾아서 설치하느라 힘들었다.

개발 환경을 관리해주어야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