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4 - 고정 ip 생성

uzzam 2023. 5. 10. 23:39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3 - 스왑 메모리 사용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3 - 스왑 메모리 사용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2 - 맥 터미널에서 GCP 인스턴스 접속하기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2 - 맥 터미널에서 GCP 인스턴스 접속하기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1 - GCP 무료 인스턴스 생성 GCP에 웹 서버

uzzam.dev

이전 글에서 스왑 메모리를 설정해줬다.

이제 빌드는 문제 없이 돌아갈 것이다.

이제는 집을 정착해야 할 때다.

ip주소는 곧 집주소다.

고정 ip를 설정해서 나의 집을 정착시키자.

 

고정 ip를 설정하는 이유는?

임시 ip를 쓰면 문제가 많다.

인스턴스가 맛이 가서 재부팅이라도 해야 한다면?

아니면 어떠한 이유로 재부팅을 한다면?

외부 ip가 바뀌게 된다.

이 말은 원래 목적이었던 포트폴리오에 써놨던 주소가 바뀌어서 포폴을 계속 수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가격

근데 가격이 무료가 아닌 것 같다. 예전에는 특별한 비용이 없었는데..

홈페이지를 봐도 독해력, 이해력이 안좋은지 확신이 안선다.

다른 블로그도 자세히 써놓은게 잘 안보인다.

 

Compute Engine 무료 등급은 외부 IP 주소에 비용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유동 외부 IP만? 고정 IP까지?

그럼 원래는 외부 IP만 써도 비용을 부과? 

가격은 이렇다고 한다.

0.004 * 24 * 30 = 2.88$

30일 기준 2.88 달러

 

비싸지 않으니 일단 해보고 나중에 생각해보기로 한다.

 

6일이 지났다.

가격은 무료인듯하다.

6일 켜놨으나 네트워킹 비용이 모두 할인된다.

 

 

설정

설정은 너무너무 쉬운데

1. VPC 네트워크 ->  IP 주소

 

 

2. 외부 IP에 '예약 클릭'

 

3. 이름을 설정해주면 이렇게 고정으로 바뀐다.

 

 

 

집에 정착했으니 다음은 문을 만들어줘야 한다.다음 글에서는 포트를 열어서 외부에서 웹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