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3 - 스왑 메모리 사용

uzzam 2023. 5. 8. 02:08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2 - 맥 터미널에서 GCP 인스턴스 접속하기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2 - 맥 터미널에서 GCP 인스턴스 접속하기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1 - GCP 무료 인스턴스 생성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1 - GCP 무료 인스턴스 생성 개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스크린샷으로 프로젝트를 표현하는 것 보다는,

uzzam.dev

지난 글을 통해 인스턴스도 만들었고, 맥 터미널에서도 ssh를 이용하여 접근이 가능하게 했다.

 

하지만 무료 인스턴스인 e2-micro를 쓰다보면 왜 무료인지 알게 된다.

빌드가 세월아 네월아 끝나지 않는다.

맥북에서 10초면 될걸 5분이 걸린다 ㅋㅋ

빌드만 오래걸리면 괜찮다. 

켜놓고 잠깐 쉬다오면 되는데 멈춰버리는게 문제다.

그러면, 인스턴스를 재부팅하고 또 ip는 바뀌고 매우 귀찮은 일이다.

과거에도 똑같은 문제를 겪었지만 기다림의 미학, 근성 등을 이용해서 해결했지만 나이가 들면서 참을성이 없어졌는지 이번에는 다른 방안을 찾아보았다.

 

찾아보니 이러한 블로그가 나왔다.

https://dundung.tistory.com/284

 

AWS EC2 npm build 퍼센트 안 넘어갈 때, 멈출 때

EC2에서 npm build를 하다 보면 18%, 25%쯤에서 멈춰버릴 때가 있다. Building for production... 이 계속 떠 있으면서.. 처음엔 EC2가 많이 느리구나~ 하하! 하면서 기다렸는데 20분 30분이 지나도 안 끝나서 멈

dundung.tistory.com

스왑 메모리를 사용하면 해결?

이게 되는구나 싶었다.

 

방법은 간단했다.

sudo dd if=/dev/zero of=/mnt/swapfile bs=1M count=2048
sudo mkswap /mnt/swapfile
sudo swapon /mnt/swapfile

2048mb의 디스크를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더 늘릴 수도 있지만 나는 그 정도까지는 필요없다.

늘리니 빌드가 성공적으로 완료된다.

 

혹시 스왑 메모리를 해제하고 싶은 미래의 나를 위해 해제법도 기록해둔다.

sudo swapoff -v /mnt/swapfile
sudo rm /mnt/swapfile

 

두 개의 서버를 실행시켜놓은 현재의 메모리 상태를 보면

메모리중 현재 남은 메모리가 401mb..

스왑메모리는 약 2gb.. 

마음이 편안해진다.

 

 

다음 글은 우리 인스턴스의 주소, IP주소를 고정하는 법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