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GCP에 웹 서버 배포하기 1 - GCP 무료 인스턴스 생성

uzzam 2023. 5. 5. 13:34

개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스크린샷으로 프로젝트를 표현하는 것 보다는, 직접 작동되는 사이트를 보여주는게 훨씬 좋다고 생각했다.

만든지 오래되었지만 배포할 수 있는 웹앱이 두 개 있었고, 18 ~ 19년도에 AWS, GCP를 이용해서 많은 삽질을 한 경험이 있었기에 올리는 건 어렵지 않았다. 새로운 기능은 많이 추가된 것 같았지만 크게 변한건 없는 것 같았다.

그 때 당시에는 AWS, GCP 프리티어를 이용해서 1년씩 쓰곤 했는데 지금은 GCP에서 제일 낮은 단계의 인스턴스는 그냥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느낀점은 역시 강의를 보거나 책을 보기보다는 엄청나게 시간을 쓰면서 당해봐야 공부가 되는 것 같다.

기억력이 좋지 않고 3~4년이 된 일이지만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

 

 

이 시리즈는

1. GCP 무료 인스턴스 생성 

2. 터미널에서 ssh로 인스턴스 접속하기 (브라우저에서 접속하는 것 보다 약간 빠르다)

3. 스왑 메모리 사용 (무료 인스턴스의 한계를 조금 확장시켜준다)

4. 고정 ip 생성 (고정 ip를 안정해주면 인스턴스를 재시동할 때 마다 ip가 바뀌어서 포트폴리오에 쓰기 부적합하다)

5. 포트 열기 (외부에서 오는 포트를 열어줘야 웹사이트에 접속 가능하다)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내가 보려고 만들었기 때문에 다소 불친절할 수 있다.

 

GCP 무료 인스턴스 생성하기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 -> Compute Engine -> VM 인스턴스 -> 인스턴스 만들기 클릭

무료 등급은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cloud.google.com/free/docs/free-cloud-features?hl=ko#compute)

 

 

 

인스턴스 이름 설정해주고

리전 : 무료 리전 중에 하나 골라서

영역 : 아무거나

시리즈 : E2

머신 유형 : e2-micro

부팅 디스크 : 

- 운영체제 : 편한 걸로

- 부팅 디스크 유형 : 표준 영구 디스크

- 크기 :  30GB

방화벽 : HTTP 트래픽 허용 (HTTPS로 접속하고 싶으면 아래 것도)

 

"부팅 디스크 유형 : 표준 영구디스크" 이게 중요하다.

기본은 균형있는 영구 디스크로 되어 있어서 놓치기 쉽다.

 

여기까지 설정하고 만들면 아래처럼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접속은 SSH라고 써있는 걸 누르거나 "브라우저 창에서 열기"를 누르면 별 설정없이 열린다.

 

구글 서버 어딘가에 내  컴퓨터 공간이 생겼다.

근데 매번 콘솔에 들어가서 열긴 귀찮고, 반응속도도 약간 느린 기분이다.

다음 글에서는 내 컴퓨터 터미널에서 인스턴스를 여는 법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