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zzam
uzzam.dev
uzzam
전체 방문자
819
오늘
4
어제
14
  • 분류 전체보기 (29)
    • 프로젝트 (4)
      • 담타 (4)
    • CS (0)
      • 운영체제 (0)
    • ps, cp (4)
      • 코딩테스트 cheatsheet (3)
      • baekjoon (1)
      • codeforces (0)
    • languages (0)
      • dart (0)
    • frameworks (2)
      • flutter (2)
    • ios (1)
    • 블로그 (10)
    • git (2)
    • blockchain (0)
    • etc. (6)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 Apple Silicon(M1) 맥북 공장 초기화하기
    2022.12.07
  • 군대 사지방에서 개발하는 방법들
    2022.12.07
  • netlify 로 gatsby 블로그 자동배포하기
    2022.12.07
  • porkbun에서 깃허브 블로그 도메인 구매하기 및 도메인⋯
    2022.12.07
    porkbun에서 깃허브 블로그 도메인 구매하기 및 도메인⋯
  • 빠르게 Gatsby + Github pages 로 블로그 ⋯
    2022.12.07

태그

  • 블로그

최근 댓글

  • 블로그 글 잘 쓰시네요 ㅎㅎ 잘 보구 갑니당
    alpha-traveler
  • 마침 찾아보던 글인데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alpha-traveler

최근 글

  • 내 인생 최고의 책
    2023.01.10
    내 인생 최고의 책
  • 새해는 특별하니까
    2023.01.08
    새해는 특별하니까
  • 안드로이드 splash screen 중복 문제 해결하기
    2023.01.07
  • git clean -fdx 하고 잠못자기
    2023.01.06
  • Xcode developer mode disabled 해결⋯
    2023.01.05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uzzam

uzzam.dev

git

스테이징(git add) 안했을 때 지워지거나 수정된 파일 되돌리는 법

2022. 12. 7. 12:45

이 글은 2020년 4월 15일에 첫 작성되었습니다.

(https://github.com/shs395/shs395.github.io/blob/master/content/git/go-back/index.md)


Git의 주요 명령어는 add, commit, push 다.
우리가 작업하는 공간은 워킹트리다(working tree)
git add 명령어는 추적되고 있지 않은 파일을 추적하거나 추적되고 있는 파일 중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한다. 커밋할 것을 정하는 것인데 워킹트리에서 스테이지로 임시로 올려준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git commit 명령어는 스테이징된 파일들을 기록해서 남기는 것이다. 임시 저장된 파일을 임시가 아닌 진짜로 기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git add를 하지 않은(스테이징하지 않은) 수정되거나 삭제된 파일의 git 상태를 조회해보면 (git status) 아래와 같이 나올 것이다.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use "git add <file>..." to update what will be committed)
  (use "git checkout -- <file>..." to discard changes in working directory)

  modified: 파일이름
  deleted: 파일이름

쉘에 답이 나온다.
(use "git checkout -- <file>..." to discard changes in working directory)
워킹 디렉토리에서 변경된 것을 버리려면 checkout을 해주면 된다.
워킹 디렉토리에 있다는 것 == 스테이징되지 않은 파일이기 때문에
git checkout -- 파일이름 을 통해서 지워진 파일을 복구하거나 원 상태로 돌릴 수 있다.

쓸 일이 그렇게 많거나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분명 누군가는 찾을 내용이기 때문에 올린다.

특히 파일을 실수로 지웠을 때 유용하게 쓰인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actions(workflow) secrets 사용법  (0) 2022.12.07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hub actions(workflow) secrets 사용법
    uzzam
    uzzam
    댓글쓰기
    다음 글
    github actions(workflow) secrets 사용법

    티스토리툴바